본문 바로가기

직무고시

(8)
8. 전기설비 안녕하세요. 지난번에 이어서 오늘은 CT 이어서 보겠습니다. (4) 정격과전류강도 1. 변류기의 1차측에 큰 전류가 1초 동안 흘렀을 때 변류기가 열적,기계적으로 손상을 입지 않는 전류의 한계치를 말하며 클수록 좋다. 2. 변류기의 과전류강도 : 40,75,150,300배, 300을 넘는 것은 특수품 3. 열적 과전류 강도 - 권선의 온도상승에 의한 용단에 대한 강도로 통과 과전류의 전체 통전시간에 발생하는 열량에 의해서 정해집니다. - A종 절연에서는 250도, B종 절연은 350도를 한도로 한다. 4. 기계적 과전류강도 가) 단락 전자력에 의한 권선 변형 등에 대한 강도로서 최대 진폭에 견디어야 하며 최대 고장전류의 최초의 파고치에 관계된다. 나) 단락전류의 최대 비대칭단락전류 또는 교류실효값의 2루..
7. 전기설비 오늘은 MOF,C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성기 (MOF, METERING OUT FIT) 1)개요 (1)하나의 함내에 계기용 변압기와 계기용 변류기를 조합하여 고압을 110V의 저압으로 대전류를 5A의 저전류로 변압변류하여 한전에서 수용가의 전력을 적산하기 위해 설치한 기기를 말한다. (2) MOF는 전력량계, 무효전력량계 또는 최대수요전력량계와 조합하여 사용한다. 2) MOF 구조 및 정격 (1) 몰드형 중량은 약 135kg 최고 회로전압 : 25.8kV 전류 5/5 ~ 15/5A 20/5 ~ 50/5A 75/5 ~ 250A 300/5 ~ 1500/5A (2) 유입형 중량 약 160kg 최고 회로 전압 : 25.8kV 전류 5/5 ~ 15/5A 20/5 ~ 20/5A 75/..
6. 전기설비 1. 전력퓨즈 (PF) (1) 전력퓨즈는 전력용 변압기등 주요기기 1차측 강 사에 설치하여 변압기, 선로 케이블 및 콘덴서 뱅크의 고장으로부터 전원측 보호는 물론 부하측 고장발생시 주요기기를 단락전류로 부터 보호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2) 전력퓨즈의 종류 및 특징 외형 : 한류형은 두껍고 비한류형은 얇습니다. 동작원리로는 한류형 : 1. 높은 아크저항을 발생하여 전압 0점에서 강제로 한류차단 2. 소호제 : 규사 비한류형 : 1. 소호가스를 뿜어 전류0점에서 극간 절연내력을 재기전압이상으로 높여 차단 2. 소호가스 : 붕산가스 장점 : 한류형 : 1. 소형으로 차단용량이 크다 2. 한류효과 크고 차단시 무소음 비한류형 : 1. 차단시 과전압 발생이 없다 2. 녹으면 반드시 차단된다 3. 과부하 보호..
5. 전기설비 보호계전기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보호계전기의 종류 및 특성 1. 과전류계전기(過電流繼電器 : over current relay) 전류의 크기가 일정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 동작하는 계전기이며 특별히 지락사고시 지락전류의 크기에 응동하도록 한 것을 지락과전류계전기라 하고 일반 과전류계전기를 OCR(over current relay), 지락과전류계전기를 OCGR(over current ground relay)이라 합니다. 2. 과전압계전기(過電壓繼電器 : over voltage relay) 전압의 크기가 일정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 동작하는 계전기이며 지락사고 시발생되는 영상전압의 크기에 동작 하도록한 것을 지락과전압계전기라하고 각각 OVR(over voltage relay) 및 OVGR(over v..
4. 전기설비 오늘은 전기설비들을 보호해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보호계전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보호계전기란? 1. 기능 전력계통은 발전소,변전소,송배전선 및 부하가 유기적으로 밀접하게 연계되어 전력의 발생부터 소비까지 구성합니다. 2. 구성요소 발전기,변압기,모선,송배전선,전동기 및 부하 등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안전하게 계통운전을 위해 각종 제어장치,측정장치 및 보호장치가 필요. 이를 위해 운전시 이상 감시를 하여 즉시 검출 동작하여 고장부분을 분리 후 고장기기나 시설의 손상을 최소화 시키기 위합니다. 3. 보호 전력선,전력기기 등에 단락,지락등 사고 발생시 그 사고를 최소화하고 그 파급 을 방지하기 위해 1) 정상 부분과 이상 부분을 분리하여 정상 부분이 이상 부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합니다. 2) 이상..
3. 전기설비 오늘은 변압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산업용 변압기로는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전신주의 주상 변압기가 대표적입니다. 한국전력공사에서 일반 가정에 공급하는 것은 220V인 것은 맞지만, 최초 발전소에서 22kV로 공급되어 승압변전소에서 765kV/345kV로 올려서 송전한 뒤 1, 2차 변전소를 거치고 흔히 도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전봇대에는 22,900V의 교류 전기가 들어오게 된다. 전압이 높을수록 전력손실이 줄어들기 때문에 장거리 송전설비에서는 대부분 765kV로 송전한다. 전봇대에서 가정이나 소규모 공장에 단상 220V/3상 380V 60Hz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전봇대에 변압기를 설치한다. 대규모 공장 등에서는 전봇대에서 22.9kV 전압을 받던가, 용량이 정말 큰 경우에는 15..
2. 전기설비 전편에 이어서 저희 일상생활에서 빌딩, 아파트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설비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1. 피뢰기 (LA) 피뢰기란 전력계통에 발생 혹은 유도된 이상 전압의 파고 값을 저감 시키기 위하여 에너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방전시키고, 방전 후에는 도전로를 차단하여 선로의 절연을 회복시키는 기능을 가진 일종의 보호 장치입니다. 쉽게 말해서 낙뢰 등 이상전압이 발생했을때 전기설비에 추가 피해를 입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입니다. 설비들을 보호해주기 때문에 있어야 하는 설비 중 하나 입니다. 2. SPD (서지 보호장치) 피뢰기와 비슷한 역할로 낙뢰 충격 전압 및 개폐 서지 등으로부터 전력 설비의 손상을 방지 위한 기기입니다. 주로 저압 쪽에 많이 설치되고 있습니다. 여기서 서지란? 낙뢰나 전원 선로의 스위칭에..
1. 전기설비 먼저 저희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기설비에 대해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첫번째로는 1. 자동부하전환 개폐기 ALTS (Auto Load Transfer Switch) 입니다. ​ 3P, 25.8[kV], 630[A], 12[kA] 자동 부하 절체 스위치로 정전시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수용가[전산센타, 군사시설, 정수장, 취수장 등]에 이중전원을 확보하도록 하여 주전원 이상시 예비전원으로 자동 전환시켜 수용가가 안정된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해 주는 전기기기입니다. ​ 보통 SF6 가스 내에서 진공튜브가 부하전류를 개폐시키도록 하여 우수한 아크 소호 능력외에도 2중의 절연 보호기능을 가지도록 하고 있습니다 ​ 일반 개폐기는 평상시의 부하전류 개폐 및 과부하 전류 차단에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