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전기설비
안녕하세요 GPT 이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접지형 계기용 변압기(GPT)
1. GR : 지락게전기 , SGR(DGR) 또는 OVGR
가) DGR(67N) : Directional Ground Relay (방향지락계전기)
나) SGR(67G) : Selective Ground Relay (선택접지계전기)
다) OVGR(64) : Over Voltage Ground Relay (지락과전압계전기)
SGR - 탭이 없다 , ZCT 로 영상전류 검출 , 비접지계통에 사용 , GPS , MSP
DGR - 탭이 있다(0.05~0.5A) , Y 잔류회로, 3권선CT에서 검출 , 저항접지계통, 충전전류가 큰곳 , GPD , MDP
2. 한류저항기 (CLR, Current Limit Resistor)
가) 지락전류를 적정치로 제한
나) GR 동작에 필요한 유효분 전류(Dynamic Current) In 을 공급
다) L-C 공진(철공진)에 의한 중성점 불안정 현상 방지
라) 3차회로의 제3고조파 억제 및 계통 안정화
2. 영상변류기 (ZCT)
(1). 구성 및 특징
1. 3상회로의 3개의 도체를 절연해서 철심 중심부를 관통시켜서 1차 도체로 사용하고, 2차 권선은 철심 주위에 균일하게 감은 구조이다.
2. 따라서 1차측 3상의 전류의 벡터합 , 즉 영상전류의 3배에 크기에 비례하는 2차전류를 지락계전기의 입력으로 얻을 수 있다.
3. 이방식은 CT 3개를 사용하는 Y잔류회로 방법에 비하여 철심 1개를 공통으로 이용하므로 철심의 특성차이에 기인하는 오차가 적어서 고감도의 지락보호에 널리 적용된다.
4. 주로 비접지계통이나 저항접지계 등의 배전선 지락사고 보호에 SGR과 함께 이용되는데 비접지계의 검출 감도수는 수백 mA 정도 이다.
5. 비접지계통 ZCT의 변류비는 보통 200mA/1.5mA(또는 3mA)가 쓰이며 영상 2차전류의 오차를 작게하기 위해서는 여자임피던스가 커야 하는데 철심을 크게 하면 된다.
(2) 영상변류기의 정격
1. 영상번류기는 정격 여자 임피던스의 값에 따라서 아래와 같이 구분되며 국내에서는 L급이 생산 되고 있다.
H급 : 정격 여자임피던스- Z0 > 40옴 , 영상2차전류-1.2mA ~ 1.8mA
L급 : 정격 여자임피던스- Z0 > 10옴 , 영상 2차전류- 1.0mA ~ 2.0mA
2. 정격과전류정수
가) 영상변류기가 포화하지 않는 영상 1차 전류의 범위
나) n > 100 또는 n > 200
3. 철심을 개재시킨 1차 도체와 2차 권선 사이의 전자적 불평형으로 인해서 영상잔류전류가 생기면 계전기 오동작의 원인이 되므로 1차 도체, 철심 및 2차 권선간의 상호 관계를 기하학적으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한다.
(3) 영상변류기의 접속
가) 영상변류기는 한 회로에 1대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나) 그러나 부하전류가 큰 회로에서는 영상변류기를 병렬로 접속하여 사용할 경우도 있다.
다) 이때 양 선로간에 저항(선로정수)가 불평이 발생하면 상시 순환전류 Ir 이 흐르게 되고 이가 심해질 경우 ZCT가 오동작 할 우려가 있다.
(4) 실드 접지선의 처리
가) 케이블 실드의 편단접지선은 전원측(ZCT 1차측) 접지 시에는 ZCT를 관통시키고
나) 부하측(ZCT 2차측)에서 접지를 할 경우에는 관통시키지 않아야 한다.
3. 서지흡수기 (SA , Surge Absorber)
1) 개요
1. 수전설비의 구내선로에서 발생하는 개폐서지 , 순간 과도전압 등의 이상전압으로부터 구조상 절연내력이 약한 회전기나 건식변압기, 몰드변압기 등의 기기를 보호하는 일종의 옥내용 피뢰기이다.
2. 서지보호기구를 일본과 한국에서는 SURGE ABSORBER 란 상표명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콘덴서의 안정성 문제로 별로 사용되지 않는다.
2) 피뢰기와 SA특성
1. SA의 동작개시전압은 제작사별로 다른데 사용전압의 2~3배 정도이고, 제한전압은 고압 건식변압기의 내전압의 51~73% 정도이다.
3) SA의 설치방법
1. 고압모터나 건식변압기, 몰드변압기의 경우에는 개폐서지에 대한 대책으로서 서지흡수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통 유입변압기는 BIL이 높으므로 SA가 필요없지만 몰드식이나 건식은 사용 BIL이 낮으므로 SA 설치가 필수적이다.
2. SA는 피보호기 전단, 주로 개폐서지를 발생하는 VCB 후단에 각 상별로 대지간에 설치한다.
4) 기기의 절연내력
1. 건식의 경우 사용 BIL 이 낮다.
2. 건식변압기 BIL=사용주파내전압 X 루트2 X 1.25[KV]
3. BIL A 는 밀폐형, 폐쇄형 건식 TR에 기타 건식 TR은 BIL B를 적용한다.
4. VCB 개폐서지
- 6.6KV 의 VCB 개폐서지는 대략 16~18KV 정도이다.
- 따라서 6.6KV VCB의 개폐서지는 6.6KV 전동기나 건식변압기의 내전압보다 크다는것을 알수 있다.
참고로 BIL 이란 기준충격절연강도라고 한다.
다음은 변압기에 대해서 다시한번 더 알아보겠습니다. 앞에 알아본거는 조금 부족한감이 없지않나 싶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