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 전기에 대해서

8. 전기설비

안녕하세요.

 

지난번에 이어서 오늘은 CT 이어서 보겠습니다.

 

(4) 정격과전류강도

1. 변류기의 1차측에 큰 전류가 1초 동안 흘렀을 때 변류기가 열적,기계적으로 손상을 입지 않는 전류의 한계치를 말하며 클수록 좋다.

2. 변류기의 과전류강도 : 40,75,150,300배, 300을 넘는 것은 특수품

3. 열적 과전류 강도

- 권선의 온도상승에 의한 용단에 대한 강도로 통과 과전류의 전체 통전시간에 발생하는 열량에 의해서 정해집니다.

- A종 절연에서는 250도, B종 절연은 350도를 한도로 한다.

4. 기계적 과전류강도

가) 단락 전자력에 의한 권선 변형 등에 대한 강도로서 최대 진폭에 견디어야 하며 최대 고장전류의 최초의 파고치에 관계된다.

나) 단락전류의 최대 비대칭단락전류 또는 교류실효값의 2루트2배의 진폭이 되지만 규격으로는 직류분 감쇠를 고려하여 정격과전류의 2.5배에 상당하는 초기 최대순시값 과전류에 견디면 된다.

5. 정격 과전류정수

1. CT1차전류를 증가시키면 정격한도를 초과하여 자속밀도가 포화되어 CT 2차 전류가 감소하게 되는 과전류 영역에서의 비오차 특성을 말한다.

2. 정격 과전류 정수 표준값 : n > 5, n > 10, n > 20, n > 40

3. 과전류정수 = 비오차가 -10% 될때의 1차전류 / 정격 1차전류

6. 비오차 (RATIO ERROR)

1. 실제의 변류비가 공칭변류비와 얼마만큼 다른가를 나타내는것

2. 변류기의 1,2,차 전류의 변류비에 대한 오차의 표시방법으로 공칭 변류비에서 실제의 변류비를 뺸 값을 실제 변류비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3. 비오차 = 공칭 변류비 - 실측변류비 / 실측변류비 X 100%

7. 과전류 정수와 CT 2차 부담과의 관계

1. CT 과전류 정수와 CT 2차 부담의 곱은 거의 일저ㅏㅇ하므로 부담이 커지면 과전류 정수는 저하하는것을 말한다.

2. 과전류 정수가 너무 크게 되면 CT 2차측에는 사고전류에 비례한 큰 전류가 흐르게되어 계전기의 열적, 기게적 내량이 문제가 되는 수가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2) PT(계기용 변압기)

1) 개요

1. 계기용 변압기는 고압 및 특고압을 110V의 저압으로 변압하여 계기나 계전기에 공급하는 기기이다.

2. 보호계전기용의 계기용 변압기는 그 사용목적에 따라 비접지형과 접지형으로 상수에 따라 단상과 삼상으로 분류된다.

2) 계기용 변압기

1. 절연방식

건식 - 종이,면 등 - 저전압 옥내용으로 주로 사용

몰드 - 합성수지 또는 부틸고무 - 내습성이 크고 30KV 이하 계통에 주로 사용

유입 - 절연유 - 고전압 옥외용으로 주로 사용

가스 - SF6가스 - GIS 설비에 사용

2. 권선형태

권선형 : 1,2차 모두 권선으로 이루어져서 전압비가 권수비에 따라 결정된다.

CPD형 : 고전압측을 권선 대신에 콘덴서를 사용하여 전압을 분압하고 2차측 권선에 일정한 크기에 전압을 변성하는 방식이며 CVT라고도 표시한다.

3). 정격사항

1. 정격전압 : 권수비는 a=V1/V2 이고 2차 정격전압은 일반적으로 110V 이다.

2. 정격부담 : VA=V제곱/Z (부담은 병렬로 접속)

4) PT용 퓨즈

1. PT 1차측 및 2차측에는 사고 파급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통 퓨즈를 설치한다.

PT 1차측 - PT의 고장이 선로에 파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목적으로 차단용량이 있는 통형퓨즈, 방출형퓨즈가 많이 사용된다.

PT 2차측 - 오접속,부하의 고장 등으로 인한 2차측 단락발생시 PT로 사고가 파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5) 계기용 변성기 접지 (MOF,PT,CT)

1. PT 2차측은 혼촉으로 인한 2차 고전압 유기방지 및 1,2,차 두 권선간의 정전유도 전압을 2차 회로에 유기되는 현상을 방지를 위해서 2차 중섬점 또는 1단자를 접지한다.

2. 2차측을 접지할때의 주의사항은 반드시 한곳만 접지하여야 한다.

3. 7000V를 넘는 특고압 변성기는 제1종접지를 실시하고, 7000V 이하의 고압용 변성기는 제 3종접지를 실시한다.

6) 계기용 변성기(PT)의 2차 회로 접속 방법

1. 단상 교류회로 접속방법

직렬접속방법 - 동일정격의 PT 2개를 1,2차측 모두 직렬로 접속하였을 때에는 변압비가 변하지 않는다. 즉 각각의 단자에는 1/2의 전압이 가해진다.

병렬접속방법 - 1차측 진력 2차측 병렬로 접속한 경우에는 변압비는 2배가 된다.

이 접속방법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사용하지 않는다.

2. 삼상 교류회로 접속방법

Y결선 -

1. Y결선은 PT회로의 기본 결선이다

2. 선간전압을 계측할 수 있다.

3. 위상은 1차와 2차가 동상이 된다.

△결선

1. PT의 1차측은 Y결선이 된 것이 일반적이므로 2차 회로를 결선으로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 이유는 1차와 2차간에 30도의 위상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2. 지락방향계전기의 극성을 얻을 수 없으므로 영상전압이 필요한 경우에는 오픈델타결선을 사용하여야 한다.

V결선

1. 비접지 선로에 단사용 PT 2개를 결선함으로 써 3상 각 선간의 전압을 계측할 수 있다.

2. 이 결선은 비접지형 3상 계기용 변압기의 기본적인 결선이다.

 

7) 접지형 계기용 변압기(GPT, GROUND POTENTIAL TRANSFORMER)

1. 용도 : 수용가 배전계통의 비접지 방식에서 지락 시 영상 전압 검출

 

글이 길어진관계로 여기까지 알아보고 다음에 GPT에 대해서 마저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 전기에 대해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전기설비 (TR)  (0) 2022.01.15
9. 전기설비  (0) 2022.01.13
7. 전기설비  (0) 2022.01.10
6. 전기설비  (0) 2022.01.10
5. 전기설비  (0) 2022.01.09